▣ 시대별 한국왕/시대─신라

제3대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재위 24∼57

在錫 2011. 8. 17. 18:23


성은 박씨(朴氏). 노례이사금(弩禮尼師今)이라고도 한다. 남해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다.

 

비(妃)의 이름은 알 수 없고, 일지갈문왕(日知葛文王)의 딸 박씨,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 또는 사요왕(辭要王)의 딸이라는 세가지 설이 있으나, 일지갈문왕의 딸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사금이라는 왕호는 이질금(尼叱今), 치질금(齒叱今)이라고도 쓰는데, ‘잇금〔齒理〕’을 의미하는 신라 방언이라는 전통적 해석이 있으나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

 

사회적으로 이사금시대 왕의 성격은 부족연맹장(部族聯盟長)이라는 설이 있으나, 어떻든 종래의 거서간(居西干)시대보다는 문물제도면에서 향상된 시대였음은 인정할 수 있다.

 

28년에 〈도솔가 兜率歌〉를 지었고, 32년에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 최(崔), 손(孫), 정(鄭), 배(裵), 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하나 이때에 된 것은 아닌듯하다.

 

6부의 여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길쌈을 짜게 하여 8월 15일에 그 많고 적음을 보아 승부를 결정짓는 가배(嘉俳)놀이를 시켰는데, 이때 부른 노래가 〈회소곡 會蘇曲〉이었다.

 

낙랑(樂浪), 화려(華麗), 불내(不耐) 등의 사람들이 북변을 쳐들어 왔으며, 맥국(貊國)과 우호관계를 맺었다.

 

《삼국사기》에서는 40년에 이서국(伊西國:지금의 淸道)을 멸하였다고 하였으나 이것은 14대 유례이사금의 기사가 착오(錯誤)된 것이라 한다.

 

재위 34년 되던 해에 탈해(脫解)의 재능이 그의 두 아들보다 뛰어남을 들어 왕위를 잇게 하고 죽어, 사릉(蛇陵)에 장사지냈다.


참고문헌 :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政治社會史硏究(李基白, 一潮閣, 1974)
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李鍾旭, 嶺南大學校出版部, 1980)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金哲埈, 歷史學報 1, 1952)
新羅上古世系의 再構成試圖(金光洙, 東洋學 3, 1973)
三韓의 國家形成 上(千寬宇, 韓國學報 2,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