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錫 2011. 8. 29. 14:11


    시대 : 고려

    생몰년 : ?-1349(충정왕1)

    활동분야 : 문신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였다. 1321년(충숙왕 8)에 우사보(右思補)로서 폐인(嬖人) 이인길(李仁吉)의 첩의 아버지인 서경낭장(西京郎將) 최득화(崔得和)의 수주수령(隨州守令)임명을 위한 고신(告身)에 서명하지 않아 곤장을 맞고 섬에 유배되었다.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지공거(知貢擧) 박충좌(朴忠佐)와 함께 동지공거로서 진사를 뽑고 하을지(河乙沚)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해(충목왕 즉위년)에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郊赦: 하늘에 제사지내고 은사를 베푸는 일)를 축하하고 돌아왔다.

또한 왕이 서연(書筵)을 설치하여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로서 시독(侍讀)하도록 하였다.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다.


참고문헌 : 高麗史, 高麗史節要. 〈李相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