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균(李思鈞)

2011. 8. 27. 14:36▣ 경주이씨유래/경주이씨인물


시대 : 조선
생몰년 : 1471-1536(성종2-중종31)
자 : 중경(重卿)
호 : 눌헌(訥軒)
시호 : 문강(文剛)
활동분야 : 문신


1471(성종 2)∼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경(重卿), 호는 눌헌(訥軒). 아버지는 판관 식(湜)이며, 어머니는 부사 김숙(金潚)의 딸이다.

 

1498년(연산군 4)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로 등용되었다. 1500년 홍문관정자 겸 경연전경(弘文館正字兼經筵典經)이 되고, 1503년 저작·부사과를 거쳐 세자시강원설서가 되었다. 이듬해에 부수찬으로 폐비 윤씨(尹氏)의 복위를 반대하다가 보은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곤양(昆陽)으로 옮겨졌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 부수찬으로 기용되고 이듬해에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이 되었다. 1509년(중종 4)교리를 거쳐 부응교가 되고, 이듬해 전적을 거쳐 집의 겸 춘추관편수관이 되었다.

 

그뒤 승문원참교(承文院參校)·사성 겸 지제교·장악원정·우승지·첨지·장악원판결사를 역임하고, 1513년에 도승지가 되었다. 1514년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1517년 공조와 형조의 참의가 되었다. 그해에 중궁책봉주청사(中宮冊封奏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19년 전주부윤을 거쳐, 부제학으로 있을 때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趙光祖)일파로 몰려 한때 좌천되었다가 곧 공조참판이 되고, 이어서 이조판서가 되었다.

 

1534년 참찬으로 승직되었으나, 나세찬(羅世纘)을 구하려다가 경기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뒤에 다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가 되었다. 저서로는 《눌헌집 訥軒集》이 있다. 시호는 문강(文剛)이다.


참고문헌 : 中宗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海東名臣傳. 〈李在範〉

'▣ 경주이씨유래 > 경주이씨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언(李尙彦)  (0) 2011.08.27
이상설(李相卨)  (0) 2011.08.27
이봉남(李鳳男)  (0) 2011.08.27
이병철(李秉喆)  (0) 2011.08.27
이병성(李炳星)  (0) 201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