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별 한국왕/시대─고려(34)
-
제1대 태조 왕건(王建)
■ 출생과 초기의 이력 성은 왕(王). 이름은 건(建). 자는 약천(若天). 아버지는 금성태수 융(隆)이며,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 송악(개성)에서 출생하였다.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가 한반도 중부지방을 석권하고, 철원에 도읍을 정하자 궁예의 부하가 되었다. 왕건은 궁예의 명령으로 군대를 이끌고 군사활동을 하여 큰 공을 세웠다. 즉, 900년에는 광주(廣州), 충주, 청주 및 당성(唐城: 지금의 南陽), 괴양(槐壤: 지금의 槐山) 등의 군현을 쳐서 이를 모두 평정, 그 공으로 아찬(阿飡)이 되었다. 903년 3월에는 함대를 이끌고 서해를 거쳐 후백제의 금성군(錦城郡)을 공격, 이를 함락시켰다. 그리고 그 부근 10여개 군현을 쳐서 빼앗아 나주를 설치, 군사를 나누어 이를 지키게 하고 돌아왔다. 이해..
2023.04.17 -
제2대 혜종(惠宗)
914(신덕왕 1)∼945(혜종 2) 재위 943∼945 본관은 개성 이름은 무(武). 자는 승건(承乾).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吳氏)이다. 젊어서부터 도량이 넓고 지용(智勇)이 뛰어났으며, 936년(태조 19) 태조가 후백제를 칠 때 종군하여 큰 공을 세웠다. 921년에 박술희(朴述熙)를 후견인으로 하여 태자에 책봉되고, 943년 태조가 죽자 왕위에 올랐으나 왕위를 노리는 강력한 적대세력 때문에 고전하였다. 특히, 강력한 호족출신이며 왕실의 외척으로서 권력을 쥐고 있던 왕규(王規)의 노골적인 암살음모를 가까스로 모면한 뒤에는 늘 신변의 위협을 느끼며 정치에 뜻을 두지 못하였다. 한편, 그의 이복동생인 요(堯: 뒤의 定宗)는 서경(西京:지금의 平壤)의 왕식렴..
2011.08.18 -
제3대 정종(定宗)
923(태조 6)∼949(정종 4) 재위 946∼949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요(堯). 자는 천의(天義). 태조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충주호족 유긍달(劉兢達)의 딸인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이다. 비(妃)는 문공왕후 박씨(文恭王后朴氏)와 문성왕후 박씨(文成王后朴氏)이다. 혜종의 뒤를 이어 945년에 즉위하여 서경의 진장(鎭將) 왕식렴(王式廉)의 도움으로 왕규(王規)·박술희(朴述姬) 등 정적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러한 사실은 혜종 사후에 전개된 일련의 호족들의 발호를 제압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개경의 호족들은 여전히 반발하여 왕권이 확고한 지위에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도참설의 영향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서..
2011.08.18 -
제4대 광종(光宗)
925(태조 8)∼975(광종 26) 재위 949∼975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소(昭), 자는 일화(日華). 1. 왕건의 아들로 태어나다 태조의 아들이며, 모후(母后)는 신명순성왕태후 유씨(神明順成王太后劉氏)이고, 정종의 친동생으로 정종의 선위를 받아 왕이 되었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皇甫氏)와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林氏)이다. 광종은 제2대 혜종, 제3대 정종에 비하여 여러 면에서 대조되며, 우선 재위기간도 혜종이 2년, 정종이 4년에 지나지 않았으나, 광종은 26년간 재위하였다. 그리고 혜종과 정종은 각각 박술희(朴述熙)와 왕식렴(王式廉)으로 대표되는 다른 강력한 세력기반에 의지하여 왕권을 부지하였으나, 광종은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쌓아 왕권을 확보하는 데 힘썼다. 광종은 고려 초기 ..
2011.08.18 -
제5대 경종(景宗)
955(광종 6)∼981(경종 6) 재위 975∼981 본관은 개성(開城) 1. 즉위 당시의 정치상황 이름은 유, 자는 장민(長民). 광종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대목왕후(大穆王后) 황보씨(皇甫氏)이다. 부왕인 광종에 의하여 강력하게 추진된 호족세력 숙청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왕과의 관계마저 원활하지 못하여 불안하게 소년시절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종은 독자적으로 정권을 담당할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즉위초에 왕선(王詵)을 집정(執政)으로 삼아 정권을 맡겼다. 이와 전후하여 광종 때에 참소당한 사람들의 자손들에게 복수할 것을 허락하자, 서로 함부로 죽이는 사태가 발생, 새로이 원성이 드높아졌다. 이와같은 사태 발생을 통하여 광종 때 왕권의 한계성을 엿볼 수 있다. 즉, 광종은 그의 전생애를 바쳐 호족세..
2011.08.18 -
제6대 성종(成宗)
960(광종 11)∼997(성종16) 재위 981∼997 1. 가계 이름은 치(治), 자는 온고(溫古). 태조의 손자이고, 대종(戴宗) 욱(旭)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선의태후 유씨(宣義太后柳氏)이다. 981년 경종의 내선(內禪)으로 왕위에 올랐다. 2. 12목 설치 982년(성종 1) 6월에 경관(京官)5품 이상에게 봉사(封事)를 올려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게 하였는데 이에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正匡行選官御史上柱國) 최승로(崔承老) 가 시무(時務) 28조(條)를 올렸다. 성종은 최승로의 정책 건의와 보좌를 받고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힘을 기울였다. 먼저 지방제도의 정비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 983년(성종 2)에 지방에 12목(牧)을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지방관의 설치는 고려 건국 이래 처음..
201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