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의 저작

2011. 8. 16. 09:36▣ 경주이씨유래/익재공이제현


역옹패설 [翁稗說]

 

bar06_green.gif

● 저작동기 및 의의
 <역옹패설>은 고려 말기 문신 이제현이 지은 시화, 잡록집으로 4권 1책의 목판본이다.
고려시대에 이 책이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전하는 것은 없고, 다만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814년 경주에 거주하는 후손들에 의해 간행된 <익재난고>에 붙어 있는 것이 있다.
이제현은 <역옹패설>의 저작동기에 대해 "여름철 계속되는 장마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지었다"고 하였다.
<역옹패설>이라는 명칭에 대해 살펴보면,
역옹은 자기 호이고 패설은 자질구레한 내용을 모은 글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역은 낙(樂)에서, 패는 비(卑)에서 음을 취했다고 하였다.
 <역옹패설>은 저자가 스스로 박잡한 글로 잡문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후대인들에게 작자 당대의 현실과 문학에 대한 귀중한 자료를 남겨준 요긴한 책이다. 또한 이것은 <파한집>이나 <보한집>의 성격을 계승하였으면서도 다양한 특징들을 포괄하고 있는 책이다.

 ● 내용분석 및 구성

 <역옹패설>은 책 전체가 전집과 후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집이 다시 1,2권으로 되어 있어 모두 합하면 4권이 되는 셈이다. 전집에는 작자 자신의 서문이 있고, 1권에는 17조, 2권에는 43조의 역사와 인물일화, 골계등이 있고,  후집에서는 작자 자신의 서문과 1권에는 28조, 2권에는 25조의 시화와 세테담등의 문학을 주로 다루고 있다. 그는 고려의 역사를 시초에서부터 살펴나가면서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을 이것저것 들어서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대로 저술했다.
 이 책에 나타난 주요 내용은
첫째, 이제현은 몽고, 즉 원으로 부터 치욕을 당한 것에 대해 반성하는 한 방법으로 부당한 사대주의에 대해 저항하고 있다.
둘째, 그는 전통성, 즉 민심의 기반이 없는 위조(僞朝)에서의 영화로운 생활을 비판하고 있다. 이는 책에서 삼별초 정권을 부정적 입장으로 보아 위조라고 생각한 것에 기인한다. 다시말하면, 삼별초가 고려의 백성을 협박하고 부녀자들을 강제로 이끌어 진도에서 비상정부를 구축하였으므로 민심을 거역한 위조라고 본 것이다.  
세번째, 무신정권의 전횡을 폭로하고, 그 폐단을 고발하고 있다. 이제현은 오언절구의 시를 통해 무신정권이 장악하는 공포정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낸다.  
네번째, 이 책에는 고려 말기 문학에 있어서 용사론(用事論)과 신의론(新意論)의 현황을 알려 주는 좋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이제현은 한유, 이백 등의 당대의 시인들을 비롯한 유명한 중국문인들의 시를 거론하기도 하고 정지상을 비롯한 우리나라 시인들에 대한 것도 평을 하고 있다. 그는 용사에 있어서 이치에 맞지 않는 단어에 대한 사용을 금하고 있고 지명의 사용도 실제정황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비판하였다.
이러한 그의 비평 태도는 시어의 현실성을 강조했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 轢翁(역옹):자신은 나라의 큰 일을 할 사람이 못되며 단지 오래나 살고 싶다는 겸손한 소망을 표 현하고 있다. 轢(상수리나무 역)은 재목감이 못되는 하찮은 나무를 나타냄.

 

기마도강도 [騎馬渡江圖]

bar06_green.gif

고려 후기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그림.

작가 : 이제현(李齊賢)
종류 : 그림
크기 : 73.6×109.4cm
제작연도 : 고려 후기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견본채색(絹本彩色). 73.6×109.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호복(胡服)을 입은 5명의 인물이 말을 타고 겨울의 얼어붙은 강을 건너는 모습을 그린 사대부의 여기화(餘技畵)로, 14세기 한국 회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소나무의 필법은 남송원체(南宋院體)의 화풍(畵風)에서 영향을 받았다. 활엽수 가지의 묘사에서는 아직 북송적(北宋的)인 수지법(樹枝法)이 남아 있어, 당시 중국화(中國畵) 수용태도를 시사하고 있다.

공민왕의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가 동적이고 힘찬 반면, 이 그림은 섬세하고 유연한 느낌을 준다. 산수의 필선(筆線)이 섬약하고, 근경(近景)의 언덕 처리가 약간 어색하여 여기화다운 일면이 있다. 이제현이 원(元)나라에 건너가 조맹부(趙孟)와의 접촉과, 원대(元代) 이곽파(李郭派) 화풍의 주도적 인물인 주덕윤(朱德潤) 등과 교제한 것으로 보아 그들의 영향을 받았을 법도 하나, 구체적으로 조맹부 ·주덕윤의 남종 문인화풍이나 이곽파 화풍의 뚜렷한 영향이 보이지는 않는다.

 

익재난고 [益齋亂藁]

bar06_green.gif

 

고려 말의 문신 학자인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시문집.

구분 : 목판본·시문집
저자 : 이제현
시대 : 1363년

     10권 4책. 저자가 살아 있을 때인 1363년(공민왕 12) 아들 창로(彰路) 및 손자 보림(寶林)이 엮어 간행하였고, 1600년(선조 33) 후손 시발(時發)이 중간(重刊)하였으며, 1793년(숙종 19) 경주부(慶州府)에서 3간하였다. 권1∼4에는 시(詩), 권5∼8에는 문(文), 권9에는 고려의 왕들에 대한 사찬(史贊)과 주요 기사가 들어 있고, 권10에는 습유(拾遺) 묘지(墓誌) 연보(年譜) 등을 수록하였다.

     책머리에 저자의 화상도(畵像圖)와 시발의 제어(題語) 및 이색(李穡)의 초판서(初板序)가 있다. 특히 권4에 있는 〈소악부(小樂府)〉는 고려의 속요(俗謠)를 한시(漢詩)로 옮긴 것으로, 국문학상의 귀중한 자료이다. 대동문화연구소에서 발행한 《여계명현집(麗季名賢集)》에 들어 있다.

 

익재집책판 [益齋集冊板 ]

 

bar06_green.gif

익재집책판(益齋集冊版)

<유형문화재 제233호>

고려 말의 문신 ·학자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전집(全集).

보관 : 구강서원(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679)

구분 : 전집, 활자본
저자 : 이제현(李齊賢)
시대 : 1635(조선 인조 13)

활자본. 15권. 1635년(인조 13) 간행. 그 후 1693년(숙종 19) 경주(慶州)에서 중간되었고, 1813년(순조 13) 증보 ·간행되었다. 내용은 《익재난고(益齋亂藁)》 10권, 동(同) 습유(拾遺) 1권, 그리고 《역옹패설(翁稗說:낙옹비설)》 전집 2권과 후집 2권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 이색(李穡) ·임상원(任相元)의 서문과 연보(年譜), 뒤에 허경(許)의 중간발(重刊跋), 그리고 습유 끝에 유성룡(柳成龍) ·이시발(李時發) ·김빈(金)의 발문이 있다.

또,《역옹패설》 전 ·후집 책머리에는 저자의 자서(自序)가 각각 있다. 특히 저자의 수필(隨筆) ·시화(詩話) 중에는 사서(史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사(遺事)와 기문(奇聞) 및 정치 ·사회 ·인물 등에 관한 그의 의견이 기록되어 있어 고려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된다. 1911년 고서간행회(古書刊行會)에서 《파한집(破閑集)》 《보한집(補閑集)》 《아언각비(雅言覺非)》 《동인시화(東人詩話)》 등과 합본하여 활자본 1책으로 발행한 바 있다.

 

효행록 [孝行錄]

 

bar06_green.gif

 효자(孝子) 62명의 전기(傳記)를 모아 엮은 책.

활자본. 1책. 고려시대에 권준(權準)이 중국의 이름난 효자 24명의 전기를 모아 화공(畵工)을 시켜 그림으로 그리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찬(贊)을 받아 그의 아버지 권보(權溥)에게 보였더니, 권보가 다시 효자 38명의 전기를 엮어 이제현의 찬을 받았다고 한다. 그 후 권보의 증손 권근(權近)이 이를 교정, 주(註)를 달고 《효행록》이라 하였다. 초판된 것은 고려 말이며, 1415년(태종 15)에 김을신(金乙辛) ·이호신(李好信) 등이 인간(印刊)하였고 1428년(세종 10)에는 설순(循) 등이 개정하여 간행하였으며 그 후 1600년(선조 33)에 간행되기도 했다. 이제현의 서(序), 권근의 후서(後序) 및 송회(宋晦)의 발(跋)이 있다.

 






'▣ 경주이씨유래 > 익재공이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정동성서(上征東省書)-이제현(李齊賢)  (0) 2011.08.16
용야심춘(龍野尋春)  (0) 2011.08.16
익재 이제현 알기  (0) 2011.08.16
익재 관련 문화유산  (0) 2011.08.16
익재의 시문학  (0) 201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