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필(李世弼)

2011. 8. 28. 08:13▣ 경주이씨유래/경주이씨인물


시대 : 조선

생몰년 : 1642-1718(인조20-숙종44)

자 : 군보(君輔)

호 : 구천(龜川)

시호 : 문경(文敬)

활동분야 : 문신, 학자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군보(君輔), 호는 구천(龜川). 항복(恒福)의 증손이며, 이조참판 시술(時術)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1674년(현종 15)제2차복상문제로 송시열(宋時烈)이 삭직당하자, 그를 적극 옹호하였다. 그는 평소에 송시열을 모르는 사이였으나, 개연히 선비들을 설득하여 상소, 송시열의 원통함을 호소하다가 영광에 유배되었는데, 적소에 5년 동안이나 있으면서도 문밖을 나가지 않았으며 《퇴계집》을 읽고 느끼는 바가 있었다고 한다.

 

1678년(숙종 4)귀양에서 풀려나오자 학행으로 천거되어 1680년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이듬해 동몽교관이 되었고, 1684년 형조좌랑을 거쳐 용안현감이 되었다가 진위령을 지내고 삭녕군수로 부임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이이(李珥)·성혼(成渾)을 문묘로부터 출향(黜享)하려 하자 관직을 버리고 진위(振威)로 돌아왔다. 생활이 매우 곤궁하였으나, 개의하지 않고 날마다 《대학》·《중용》을 외우며 ‘격물궁리(格物窮理)’ 공부에 전심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다시 김제군수가 되고, 이어 사복시정·장악원정을 지냈다. 그뒤 한성부우윤·형조참판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1717년 상신 이이명(李#이96命)이 독대(獨對)를 전횡하자 상소하여 그 잘못을 극론하였다. 그는 고향에 돌아온 뒤부터는 성리학에 전심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대학》을 가장 깊이 연구하였다.

 

만년에는 예학에 힘을 쏟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고금예설을 두루 연구하였다. 저술로는 경설을 논한 것과 예에 관하여 논답한 것 등 20여권이 있으며 《악원고사 樂院故事》 1책이 있는데, 이는 묘악(廟樂)의 전고(典故)를 설명하고, 악장(樂章)에 관한 여러 사람의 논의를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1722년(경종 2)에 아들인 호조판서 태좌(台佐)의 추은(推恩)에 의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이듬해에 다시 의정부좌찬성이 내려졌다. 영광의 백산서원(柏山書院)과 김제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 肅宗實錄, 謙齋集. 〈李東熙〉

'▣ 경주이씨유래 > 경주이씨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경(李壽卿)  (0) 2011.08.28
이송제(李松齊)  (0) 2011.08.28
이세장(李世長)  (0) 2011.08.28
이세구(李世龜)  (0) 2011.08.28
이성중(李誠中)  (0) 2011.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