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경(李壽卿)
2011. 8. 28. 08:15ㆍ▣ 경주이씨유래/경주이씨인물
시대 : 항일기, 대한민국
생몰년 : 1882-1955(고종19-?)
자 : 치일(致一)
호 : 송사(松史)
활동분야 : 거문고 명인
1882(고종 19)∼1955. 거문고의 명인.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치일(致一), 호는 송사(松史). 서울출신. 헌종 때 피리의 명인인 이인식(李寅植)의 장손이고, 역시 고종 때 피리의 명인인 이원근(李源根)의 맏아들이며, 가곡의 명창 이병성(李炳星)의 아버지이다.
1892년(고종 29) 장악원(掌樂院)에 입사(入仕)하였으며, 1901년 진연(進宴)때는 방향(方響), 1902년 진연 때는 편경(編磬)을 담당하였다. 1903년 3월에 가전악(假典樂)이 되었고, 1913년 아악수장(雅樂手長)을 거쳐 아악사(雅樂師)에 승진하였다.
1939년 이왕직 아악부를 사임할 때까지 김영제(金寧濟)·함화진(咸和鎭)·최순영(崔淳永)과 더불어 아악의 보존과 육성에 공헌이 컸다. 특히, 영산회상(靈山會相:일명 거문고회상)과 도드리의 연주가 절묘하였다.
1892년 11세 때 무동(舞童)이었던 관계로 궁중정재(宮中呈才)에도 뛰어나 현재 국립국악원에 전승되는 춤은 모두 그의 지도에 의한 것이고, 종묘대제 때 추는 일무(佾舞)와 악장(樂章)도 대부분 그의 지도에 의한 것이다.
참고문헌 : 進宴儀軌, 國樂槪要(張師勛, 精硏社, 1961). 〈張師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