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는 제사를 차례(茶禮)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절사(節祀)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명절 중에서 차례를 가장 많이 지내는 명절은 설과 추석이다. 이밖에도 가문에 따라 서는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대보름날, 한식, 단오, 중양절, 동지, 등에 차례를 올리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차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설에 지내는 연시제(年始齊)와 추석에 성묘를 겸한 제사를 말한다. 차례에 모셔지는 조상은 4대조 까지 지낸다.
원래 차례는 차를 올리는 절차를 내포한 중국 전래의 제례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관행의 차례에서는 차를 올리는 절차가 없다. 그러므로 차례이지만 보통의 제사처럼 제수를 장만하고 술을 올리며 제사 지내는 것이 관례이 다.
민간에서는 차례, 즉 명절에 지내는 기제사 및 묘사와 더불어 중요한 조상숭배의 의례로 꼽고 있다. 추석이나 설의 차례는 산업사가 회화의 추세에 따라 외지에 나갔던 부계 친족들이 모두 모이고, 다양한 민속놀이가 행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옛날 남부지방에서는 설과 추석이 중요한 명절로 인식되어 이날 차례를 올리는 것이 관례화 되어있으나, 북부지방에서는 추석의 차례가 유명무실한 평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추석이 전국적인 명절로 확산되고, 이날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강화되고 있다. 차례는 대부분이 지방에서 낮에 지내며, 가까운 부계 친족끼리 모여서 지내되 종가에서부터 차례대로 지낸다.
차례의 절차는 지방과 가문마다 약간씩 차이를 보이나 무축단헌을 원칙으로 하여 지내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조상숭배의 실천윤리의 하나로 기제사가 사망한 날을 추모하여 지내는 의례이고, 묘제가 4대조 이사의 조상의 묘를 찾아 추모하는 의례라면, 차례는 조상에게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옴을 알림과 동시에 시식과 절찬을 천신하는 의례이다.
차례의 절차가 무축단헌, 즉 축문을 읽지 않고, 술을 한 잔만 올린다고 하나, 지방과 가문에 따라서는 다를 수도 있으니 가통에 따라서 행한다. 차례의 제수를 차리는 것은 다른 제사와 다를 바 없으나, 설에는 떡국을 올리고, 추석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어 햇과일과 함께 올린다.
[차례의 절차 ]
- 진설(陳說) : 마련한 음식물을 제상에 차린다.
- 제지방 : 고조부모부터 서에서 동으로 차례대로 지방을 써붙여 제상을 각각 놓는다.
- 분향강신(焚香降神) : 주제자가 분향하고 뇌주하고 두번절한다.
- 참신(參神) : 주제자 이하 모두 두번절한다.
- 헌작(獻爵) : 주제자가 각위마다 헌작한다.
- 정시저(正匙箸) : 숟가락과 젓가락을 바로 놓는다.
- 부복(俯伏) : 주제자 이하 잠시 동안 부복한다.
- 하시저(下匙著) : 수저를 내려 놓는다.
- 사신(辭神) : 주제자 이하 모두 두번절한다.
- 퇴작(退酌) : 집사자는 술잔을 물린다.
- 분지방(焚紙榜) : 지방을 불사른다.
- 철상(澈床) : 상을 치우고 음복한다.
[ 기제와 차례의 차이점]
-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고 차례는 명절에만 지낸다.
- 기제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낸다.
- 기제는 그날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만 지내고, 차례는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 기제는 밥과 국을 올리나 차례는 설에는 떡국을 한가위에는 송편을 올린다.
[절차상의 차이점]
- 기제에는 술을 3번올리지만 차례는 한번만 올린다.
- 기제에는 잔반을 내려 술을 따라서 잔반을 올리지만 차례는 주전자를 들고 제상 위의 잔반에 직접 술을 따른다.
- 기제에는 첨작을 하지만 차례에는 첨작을 하지 않는다.
- 기제에는 합문, 개문을 하지만 차례에는 하지 않는다.
- 기제에는 숙수(숭늉)을 올리지만 차례에는 올리지 않는다.
- 기제에는 축문을 반드시 읽지만 차례에는 읽지 않는다.
- 기제는 하루에 두 번을 지낼 수 있지만 차례는 모든 조상의 제상을 내외분마다 따로 차리되 한번의 철차로 지낸다. - 그러나 이러한 차례의 경우도 지방이나 가문에 따라 맨 위 조상 내외분부터 지내고 차례대로 몇 번을 지내는 집안도 많이 있으니 그 집안의 가통에 따를 것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