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의 생활 속 적용

2011. 8. 16. 17:02▣ 생활과 민속/관혼상제상식

 

간지 이해의 핵심 요령

 

서당 - 김홍도 화첩간지표기에서 앞 부분의 天干(천간)은 10개입니다. 곧 10년 단위로 항상 같은 것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여기에 해결책이 있습니다.

天干(천간)의 첫 번째 甲(갑)은 서기년도의 끝 자리가 항상 '4년'이 됩니다.

곧 {모든 '甲[*]年'은 서기년도 끝 자리가 '--4년'}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계속해서 乙(을)은 5년, 丙(병)은 6년, 丁(정)은 7년, 戊(무)는 8(년), 己(기)는 9년, 庚(경)은 0년, 辛(신)은 1년, 壬(임)은 2년, 癸(계)는 3년이 바로 천간과 서기년도 끝 자리의 결합입니다.
예를 들어 2003년은 끝 자리가 '3'이라서 간지표기 앞 부분 천간은 '癸(계)'가 되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고, 또한 10년 단위로 과거(1993년.1983년..), 미래(2013년.2023년..)가 모두 간지표기 앞 부분의 천간은 '癸(계)'가 되겠지요.

이제 문제의 반은 해결되었습니다. 干支의 표기는 天干(천간)이 앞 부분이고 地支(지지)가 뒷 부분으로 표기되는데, 뒷자리인 地支(지지)는 곧 각각의 동물 형상인 '띠'를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띠'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간지를 활용한 실생활 적용 문제

간지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몇 가지 문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제1. 자신의 출생년의 干支(간지) 표기 알기
예)
저는 1965년에 태어났습니다. 간지년도 표기는?

문제2. 올해의 干支(간지) 알아 보기
-
달력을 보는 것이 빠를 수도 있습니다

문제3. 나이로 干支(간지) 알아 보기
예)
아무개 아버님의 연세가 50세라고 할 때 간지년도는 무엇일까?

문제4. 干支(간지)로 나이 알아 보기
예)
친구 아버님의 연세가 몇이신지 잘 모르고 '甲子年(갑자년)'生이라고 할 때 연세는?

문제5. 간지로 표기된 역사 속의 사건 연도 알기
예)
우리나라 구한말의 역사속 사건들 중에 '壬午軍亂(임오군란)', '甲申政變(갑신정변)', '甲午更張(갑오경장)'은 서기 연도로 몇 년 일까?





'▣ 생활과 민속 > 관혼상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제와 시제의 차이.  (0) 2011.08.16
간지에 대한 지식  (0) 2011.08.16
간지와 역법  (0) 2011.08.16
[상례 ▶ 현대식 상례절차  (0) 2011.08.16
[상례 ▶ 상례절차  (0) 201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