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과 민속(33)
-
[한국의 기념일 - 명절] 단오(端午)
■ 풍년 기원 제 단오 음력 5월 5일로 명절의 하나다. 일명 수릿날, 중오절, 천중절, 단양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자는 처음 곧 첫번째를 뜻하고 '오'자는 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라는 뜻이 된다. 일년중 가장 약기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큰 명절로 여겨왔고 여러 가지 행사가 전국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단오는 더운 여름을 맞기 전의 초여름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이기도 하다. 단오행사는 북쪽으로 갈수록 번성하고 남으로 갈수록 약해지며, 남쪽에서는 대신 추석이 강해진다. ■ 단오의 유래 또한 단오는 중종 13년(1518)에 설날, 추석과 함께 삼대 명절로 정해진 적도 있다. 단오의 유래는 중국 초나라 회왕때부터 이다. 굴원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
2011.08.18 -
[한국의 기념일 - 명절] 한식(寒食)
■ 한식의 유래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음력 2월 또는 3월에 든다.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철이 이르고, 3월에 드는 해는 철이 늦다. 그래서 ‘2월 한식에는 꽃이 피어도 3월 한식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는 말이 전한다. 24절후 속에 들어 있지는 않으나 습속으로 전해내려오며,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다.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매년 봄에 나라에서 새불〔新火〕을 만들어 쓸 때 그에 앞서 어느 기간 동안 묵은 불〔舊火〕을 일절 금단하던 예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중국의 옛 풍속으로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그 유래를 찾기도 한다. ■ 개자추 전설 또한, 개자추 전설(介子推 傳說)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
2011.08.18 -
[한국의 기념일 - 명절] 정월대보름
■ 대보름의 의미 음력 정월보름날.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이란 중원(中元: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음력 10월 15일)에 대칭되는 말로서 이것들은 다 도교적인 명칭이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는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1월 1일은 1년이 시작하는 날로서 당연히 의의를 지녀왔지만, 달의 움직임을 표준으로 삼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에서는 첫 보름달이 뜨는 대보름날이 보다 더 중요한 뜻을 가져온 듯하다.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하였다. 정월대보름이 우선 그렇고, 다음의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추석도 보름날이다. 한반도 북부에서는 단오가 큰 명절이기도 했으나 중부 이남에서는 7월보름인 백중보다도 비중이 작았다. 중부 이남에..
2011.08.18 -
[한국의 기념일 - 명절] 설
설은 새해의 첫머리며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다. 설은 묵은 해를 떨쳐버리고 새로 맞이하는 한해의 첫날이며 첫머리다. 설이라는 말은 '설다', '낯설다' 등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온 듯도 하다. 새해에 대한 낯설음, 즉 새해라는 문화적인 시간인식 주기에 익숙하지 못한 속성을 가장 강하게 띠는 날이 바로 설날이기 때문이다. 설은 묵은 해에서 분리되어 새해에 통합 되어가는 전이 과정으로서, 새해에 통합 되기에는 익숙하지 못한 단계이다. 바로 이 점에 ‘설다’는 의미가 내재하고 있다. ■ 설의 의미 각종 세시기들이 설을 신일(愼日)이라 하여 ‘삼가하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 것도 새해라는 시간질서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조심하고 삼가해야 된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뜻은 원일(元日), 세수(歲首)..
2011.08.18 -
묘제와 시제의 차이.
◎ 묘제와 시제의 차이 및 돌아가신 아버지의 제사 축문을 어떻게 쓰는지 질의가 있어, 아래와 같이 간단히 소개 합니다. 묘제와 시제에 관하여는 네이버 통합검색란에 검색을 하시면 상세히 수록되고 있사오니 생략 하오나, 간략히 말씀 드리자면 조상의 산소에 제수를 진설하고 제사를..
2011.08.16 -
간지의 생활 속 적용
간지 이해의 핵심 요령 간지표기에서 앞 부분의 天干(천간)은 10개입니다. 곧 10년 단위로 항상 같은 것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여기에 해결책이 있습니다. 天干(천간)의 첫 번째 甲(갑)은 서기년도의 끝 자리가 항상 '4년'이 됩니다. 곧 {모든 '甲[*]年'은 서기년도 끝 자리가 '--4..
2011.08.16